[주식사는 법 3탄] 기준금리란 무엇인가

 

1. 기준금리란

금리란 돈의 값이다.
만원을 빌리고 싶은데 사람들이 이자를 더 내겠다고 하면 돈을 이자를 대가로 사는 것이다. 그러므로 돈도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정해진다.


2. 중앙은행

한국 : 한국은행
미국 : Fed
각 나라의 기준금리를 정하는 기관

3. 한국은행

기준 금리를 정할 수 있는 권한은 한국은행에게 있다.

4. 기준금리 내리는 이유

ex) 코로나로 -> 한국은행 기준 금리를 낮춤 -> 시중은행 예금 금리 대출 금리 낮아짐 -> 소비자 지갑을 염 -> 경기가 살아남

5. 기준금리를 못내리는 이유

a. 부동산 시장에 검품이 낌

=> 여유자금이 있는 사람들이 부동산에 넣음
=> 소비가 아닌 부동산으로 갈 것으로 생각됨

b.  외국 자금이 빠져나감

=> 우리와 미국 금리를 같이 생각해야 함
=> 금리가 미국보다 낮아지면 해외 시장으로 갈 가능성이 높음

6. 용어 정리

a. 퍼센트 포인트란?

50%에서  47.5가 됐다는 것은 5%가 내린 것이며
50%에서 45%가 됐다는 것은 5%point가 내린 것이다.

b. 뉴 노멀 시대

저성장, 저물가, 저금리 시대가 왔다.
초저금리가 오래 지속될 예정임.
경기가 회복될때까지 낮은 수준의 금리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.


결론

- 어떠한 곳인지 모른다면 절대로 돈을 넣지 말아야하며, 제로 금리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나비효과를 고려해야 한다.

- 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넣지 않고 빌리기만 할 것이다. 그리고 그 돈은 모두 주식으로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.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주식이 과연 어떻게 변할지는 미지수 이므로 주식을 보수적으로 할 필요도 있다. 

 <//p>

 

 

참조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AMZwbEG7Os

 

[주식 사는법 2탄] PER, EPS를 보고 선택하라

 

 

1. PER(price earning ratio) 주가수익률

기업의 가치가 주가에 반영되어 있는가
수식 : 현재 주가/eps
만약 10이라고 하는 숫자가 나왔다면 10년동안 있으면 시가 총액 만큼 벌 수 있다는 의미이다.
테슬라 per가 1000까지 갔다는 것은 1000년 일해야 한다는 것이다
per이 높으면 고평가 됐다고 하지만, 상대적인 값이므로 동종 업계를 봐야 한다.

2. EPS

주식한주가 얼마나 벌어들였는가
수식 : 순이익/주식총수
수익 창출이 좋은 회사이며,  eps가 높으면 주가 오르거나 배당금이 클 가능성이 높음

3. 주식 총수

주식이 발행한 모든 개수


4. 정리

- 액면 분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주식 총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회사가 더 커지는 것은 아니니 충동적으로 투자하지는 말아야 한다.

- EPS 가 높다는 것도 저평가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, PER이 높다는 것도 저평가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. 

 

 

 

 

참조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xPPFvcNT6Y

[주식 사는법 1탄] 재무제표 보는 방법

 

1. 재무상태표

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
재무재표 보는 곳이며, 연결 재무제표는 자회사 포함이다.

1.1 자산

자본과 부채를 모두 합친 금액
ex) 내돈 1.5조(자본), 부채 3.5조(부채)  = 5조(자산)

1.2 부채 비율

- 내돈 대비 얼마나 빚이 있는가
ex) 부채 3.5억(부채)/ 내돈 1.5억(자본)  * 100 = 233%
- 부채 비율이 200%가 넘지 않아야 안정적임

1.3 DART

회사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곳

연결보고서 : 자회사

1.4 영업 이익률

회사가 얼마나 잘나가를 알 수 있다.
영엽이익/매출액 이 영업 이익률이다.
(영엽이익 =  매출액 - 매출 원가 -판관비 이다.)
ex) 매출액 : 1.5조, 영업 이익 : 8백억 , 800/150 = 5.3% 영업이익
10%이상이면 돈을 잘 버는 회사

1.5 단기순이익

주식을 사면 배당금을 주주에게 줌
배당은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배당이 정해짐
그러므로 영업이익에서 이자, 법인세, 기타수익 등을 모두 합친 금액으로
단기순이익을 계산해야 한다. 빚이 많은 회사는 단기순이익이 낮을 수밖에 없다.

 

 

2. 정리

1. 부채비율 확인하기 (200% 이하 선택)

우리는 주식을 하기 전에 재무제표를 꼭 봐야 한다. 제무재표를 보는 자본과 부채가 얼마나 있는지, 그리고 부채 비율이 어마나 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. 왜냐하면 부채비율이 많으면 많을수록 값아야 할 돈이 많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영업이익이 높더라도 이자를 갚고난 당기 순이익이 현저히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.  부채비율이 200%를 넘어가면 조금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. 

 

2. 영업이익률 확인하기 (10% 이상 선택)

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/매출액 이다. 이 영업이익률이 10%를 넘는다면 일을 잘 하는 회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.

 

 

3. 참조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UDNbcrIrfzc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