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폴리매스] 금수저가 되기 위한 2가지 방법

 

 

금수저 : 끊임없이 도전해서 실패해도 괜찮다는 마인드이다.

금수저가 되기 위한 2가지 방법 

 

1. 메타인지
-> 반성을 통해 어제보다 더 나은 내가 되어야 한다. 그것이 바로 탁월함으로 연결된다.

2. 구체적 계획
-> 사람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므로 맥락에 따라 계획이다르다.
-> 계획이 구체적이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행할 확률이 높아진다.

3.  결론 

반성없이 계획을 세우는 것은 사상누각이다.(사상누각 : 기초가 약하여 오래가지 못한다. )
메타인지를 높이고 계획대로 해보아도 잘 되지 않는다면 환경설정을 해봐라. 새로운 환경에 뛰어드는 것이 가장 좋은 도전이다.

 

4. 느낀점

- 도전 하는 것이야 말로 금수저이다. 돈이 많다고 행복하지 않다. 내가 스스로 처음부터 이루어 나가야 가장 행복한 것이다. 현재에 안주하고 싶다면,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티는 것이라면 죽은 인생이다. 힘들더라도 어제보다 더 나은 내가 되었다면 성공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. 죽기전에 잘 살았다 라고 느낄 것이다. 그리고 우연히 성공한 경우라면 사상누각이 될 가능성이 높다. 사람들은 로또심리가 강하여 우연히 잘 되기를 바란다. 하지만 우리는 100년을 살 것이다. 이러한 일이 잘 풀렸다면 그 다음에 주어진 일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. 오히려 불행일 수 있다. 

 

참조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w5CipwUaoco

 

[폴리매스] 돈벼락 맞는 2가지 방법

1. 시나리오 써보는 훈련을 계속해서 해본다.

- 코로나와 같은 급격한 변화속에서 준비된 자만이 성공한다.
- 고령화와 같은 예상되는 변화 속에서 안티프레질을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짜본다.

2. 잉여력과 잉여시간을 미리 계산해본다.

- 대응을 얼마나 빨리 할 수 있는가
- 시간적, 재무적 메타인지를 생각한다.

결론

메타인지와 안티프레질의 중요성

 

느낀점

- 유튜브나 페이스북과 같이 플랫폼이 새로 나왔을 때, 초기 시장에 진입한 사람들은 쉽게 성공할 수 있다. 하지만 실력이 없는 유튜버들은 도퇴되므로, 실력을 키우는 것을 게을리 하면 안된다.

- 유튜브와 같이 positive 변화 뿐만 아니라, 코로나와 같은 negative 변화 속에서도 it 기업들은 승승장구 하고 있다. 이는 미리 준비가 되어있었기 때문이며, 급격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다.

- 그러므로 우리는 급격한 변화속에 진입할 수 있는 나의 자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,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능력을 미린 선습득 해야 한다.

 

참조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z-RkV2YvkS8

 

[폴리매스] 대부분 돈 많은 사람들이 행복한 3가지 이유

1. 부자들은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

-> 부자들이 두려워 하는 것은 목표가 없어지는 것이다. 
-> 동기가 즐거움, 의미, 성장 으로부터 오며,  정서적 압박 경제적 압박 타성 에서 오지 않는다.

 

2. 돈에 몰입이 아닌 과정에 몰입한다.

-> 설거지를 하더라도 몰입하는 사람이 행복하다.
-> 약간 도전적인 과제에서 실력이 비등해야 긴장감이 발생하여 몰입이 발생하며 재미가 있다. 

3.성과가 정량적일 가능성이 높다. 

-> 목표가 명확하면 쫓아가기가 편하다.
-> 부자에 속하는 대기업 인원을 예로 들면 회사의 이익이 본인에게 많이 돌아오므로 행동과 돈이 메칭이 잘된다.
-> 반면 일반 회사원은 충분히 보상을 받지 못한다. 그래서 부자가 행복하다.

 

4. 정리 

-> 돈만을 추구하게 될 경우 생각보다 인생이 재미가 없다.
-> 월 500 만원 이상 버는 사람은 행복지수와 돈의 액수가 비례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. (개인차 존재)
-> 돈을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불행하므로 주식을 시작하는 순간 평균적으로 불행하다는 것이 계산된다.

 

5. 느낀점

- 어떠한 일을  할 때, 돈을 쫓으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다. 돈은 생명과 같아서 쫓으면 도망간다.  그러므로 염두는 하되 본인의 업무에 집중을 하면 돈은 알아서 따라오게 되어있다. 

- 죽음을 생각하면 인생은 너무나도 짧다.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값어치이다.  그러므로 하기 싫은 것을 하며 돈을 쫓는 것보다는 의미있는 것에 집중하며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 정략적으로 계산했을 때, 이득인 것이다.

- 같은 맥락으로 월 500이상 버는 사람들은 행복지수가 비슷한 이유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여가 시간에 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. 

- 폴리매스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부자일 가능성이 높다. 여러 분야에 전문가이며 새로운 것을 끊임없이 받아들이므로 인생이 도전의 연속이기 때문이다. 기승전 폴리매스!

 

6. Reference
www.youtube.com/watch?v=lw6__xEfkj0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