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퇴사정리] 퇴사 잘 하는 법

 

  1.  이직 시 하는 5가지 실수 :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이직이 100% 확정되면 이직하기 
    1. 감정적 이직 : 포커페이스 중요
    2. 소속 유지않고 이직 : 협상 마이너스 
    3. 이직 의사 노출 : 이직 변수 많음 
    4. 오퍼레이터 수령 전 이직 : 법정 다툼이 가능한 것이 오퍼레이터 임
    5. 현 업무 집중력 저하 : 이직은 +a
  2.  입사 날짜 정하는 방법 : 1,2주 쉬는 날을 확보한 후, 100% 확실할 떄, 1달전에 말하기 
    1. 최종 오퍼레이터 받은 후
    2. 1달 전 : 심리적 마지노선, 인수인계 일은 어렵지 않음
    3. Refresh 휴가 1주일 이상 : 이후 회사를 위해서 올바른 의사결정
    4. 연차 : 모두 쓰거나 보상 받기
    5. 갑자기 입사 강요 : 중복 근무 가능, 계약직 등으로 협의 보기 
  3. 이직 통보  : 상사에게 조심스럽게 말하기 
    1. 순서 
      1. 상사. 상사의 차상위 상사 
      2. 상사로 부터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도록 하기 
    2. 스킬 
      1. 빈 회의실, 술자리, 점심 자리에 따로 말씀드려야 함 
      2. 갑자기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흘리는 것이 중요함 
      3. 동료들에게는 동시에 빠르게 알리기 
  4. 이직시 실수하면 안되는 것 : 부정적인 것 말하지 말기
    1. 연관성 없는 직무 : 신입의 마인드로 할 것이라면 무관
    2. 연봉 or 회사 낮추기 : 커리어를 높여가야 함 
    3. 찔러보기 : 평판 손해 
    4. 이직 사유 : 부정적x, 도전성 어필
    5. 충원 이유 : 지인, 인사과를 통해서 알아내기 
    6. 약점 노출 : 협상력 올라감
    7. 선심성 공약 : 덕담으로만 받기 
  5. 퇴사 통보 시기 : 모든 것이 확정된 후
    1. 구두 합격 후, 발뻄 가능
    2. 퇴사 통보 후, 연봉협상하면 안됨 : 최대한 천천히 퇴사통보하기 : 어떤 직급, 연봉 조건 등,이유 :
      1. 인사과가 딴 생각 못하도록,
      2. 나중에 시시비비 가리기 위함 , 법적 조치도 가능함 
  6. 연봉 협상 방법 : 몰랐던 사실만 가지고 협상
    1. 협상 가능하다고 하기 : 몰랐던 사실이 추가로 나오면(LIKE 성과금) 다시 협상 가능 
  7. 이직 의사결정 : 도전적 이유
    1. 혼동 이유
      1. 이직 할 회사를 잘 모름 : Risk 위주로 정보 모으기
      2. 삶의 의사결정 기준 확립이 안됨 
    2. 사례
      1. 업무 역할이 달라진 경우
      2. 인간관계
      3. 직업 안전성 등
    3. 이직 시 튕기기 방법
      1. 이전회사에선 인센티브가 많았음 : o
      2. 다른 회사에도 붙었음 : x , 같이 일하고 싶지 않음 

+ Recent posts